top of page
충남 3D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청자상감국화문발
국립공주박물관 보유

문화재 원본 이미지
충남 부여군 출토
대략 10세기 후반부터 그릇 장식을 위한 문양이 나타나는데
중국에서 전래된 국화당초문과 연판문 등을 고려적인 모습으로 변화시킨 것입니다.
상감기법이 이용되면서 순청자에서 거의 볼 수 없었던 국화문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문화재 3D 모델링 이미지
.png)
문화재 3D 텍스처 이미지
bottom of page
충남 3D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국립공주박물관 보유
문화재 원본 이미지
대략 10세기 후반부터 그릇 장식을 위한 문양이 나타나는데
중국에서 전래된 국화당초문과 연판문 등을 고려적인 모습으로 변화시킨 것입니다.
상감기법이 이용되면서 순청자에서 거의 볼 수 없었던 국화문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문화재 3D 모델링 이미지
문화재 3D 텍스처 이미지